블로그 이미지
잡다한 취미 생활 및 일상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를 적어나가는 블로그입니다.
붉은kkk

공지사항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글 보관함

calendar
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18. 자산비중 및 경제상황별 예상수익률이 다음과 같을
때, 전체 구성자산의 기대수익률은?(단, 확률은 호황
40%, 불황 60%임)
① 11.5% ② 12.0% ③ 12.5% ④ 13.0% ⑤ 13.5%

더보기

정답 : 2

 

상가 기대수익률 : 20% * 0.4 + 10% * 0.6 = 8% + 6% = 14%
오피스텔 기대수익률 : 25% * 0.4 + 10% * 0.6 = 10% + 6% =16%
아파트 기대수익률 : 10% * 0.4 + 8%*0.6 = 4% + 4.8% = 8.8%

포트폴리오 기대수익률 = 14% * 0.2 + 16% * 0.3 + 8.8%*0.5 = 2.8% + 4.8% + 4.4% = 12%

17. PF(Project Financing)방식에 의한 부동산개발사업시
금융기관이 위험을 줄이기 위해 취할 수 있는 조치가
아닌 것은?(단, 다른 조건은 동일함)
① 위탁관리계좌(Escrow Account)의 운영
② 시공사에 책임준공 의무부담
③ 대출금 보증에 대한 시공사의 신용보강 요구
④ 시행사ㆍ시공사에 추가출자 요구
⑤ 시행사 개발이익의 선지급
더보기

정답 : 5

16. 부동산관리에 관한 설명으로 틀린 것은?
① 위탁관리방식은 건물관리의 전문성을 통하여 노후화의
    최소화 및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여 대형건물의 관리에
    유용하다.
② 토지의 경계를 확인하기 위한 경계측량을 실시하는 등의
    관리는 기술적 측면의 관리에 속한다.
③ 부동산관리는 법ㆍ제도ㆍ경영ㆍ경제ㆍ기술적인 측면이
    있어, 설비 등의 기계적인 측면과 경제ㆍ경영을 포함한
   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.
④ 자치관리방식은 관리요원이 관리사무에 안일해지기 쉽고,
    관리의 전문성이 결여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.
⑤ 혼합관리방식은 필요한 부분만 선별하여 위탁하기 때문에
    관리의 책임소재가 분명해지는 장점이 있다.

 

15. 부동산투자의 위험과 수익에 관한 설명으로 틀린 것은?
① 부동산은 인플레이션 상황에서 화폐가치 하락에 대한
    방어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.
② 체계적 위험은 지역별 또는 용도별로 다양하게 포트
    폴리오를 구성하면 피할 수 있다.
③ 위험조정할인율은 장래 기대되는 수익을 현재가치로
    환원할 때 위험에 따라 조정된 할인율이다.
④ 투자자의 요구수익률은 체계적 위험이 증대됨에 따라
    상승한다.
⑤ 효율적 프론티어(Efficient Frontier)는 동일한 위험에서
    최고의 수익률을 나타내는 투자대안을 연결한 선이다.
더보기

정답 : 2

 

* 체계적 위험 : 체계적 위험이란 부동산시장의 힘에 의해 발생하는 위험으로서 투자자가 피할 수 없는 위험을 말한다. (예> 경기변동, 이자율변동, 인플레이션의 심화 등) 이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자산의 수와 무관하게 상존하는 위험이다

14. 임대주택제도 및 정책에 관한 설명으로 틀린 것은? 
(단, 다른 조건은 동일함)
① 정부가 임대주택공급을 증가시켰을 때 임차수요의 임대료
    탄력성이 클수록 임대료의 하락 효과가 작아질 수 있다.
② “준공공임대주택”이란 국가, 지방자치단체, 한국토지주
     택공사 또는 지방공사 외의 임대사업자가 10년 이상
     계속하여 임대하는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의 임대
     주택(“공공건설임대주택”은 제외한다)을 말한다.
③ “희망주택”의 임대료가 시장임대료보다 낮은 경우 임대료
    차액만큼 주거비 보조효과를 볼 수 있다.
④ “장기전세주택”이란 국가, 지방자치단체, 한국토지주택
    공사 또는 지방공사가 임대할 목적으로 건설 또는 매입
    하는 주택으로서 30년의 범위에서 전세계약의 방식으로
    공급하는 임대주택을 말한다.
⑤ 시장의 균형임대료보다 낮은 임대료 규제는 임대부동산의
    공급 축소와 질적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.
더보기

정답 : 4

정부가 임대주택공급을 증가시켰을 때 임차수요의 임대료 탄력성이 클수록 임대료의 하락 효과가 작아질 수 있다.

--> 탄력성이 크다 : 가격변화보다 양의 변화폭이 크다.

     가격입장에서 보면 탄력적인 경우 가격은 작게 바뀜.

     따라서, 수요탄력성이 클수록 임대료, 가격의 하락폭은 작게 되므로 지문 성립됨

 

장기전세주택 : 장기전세 주택은 전세금이 주변 전세시세의 80% 이하에 불과하고 전세 기간이 최장 20년이며 설계·시공·마감을 분양주택과 동일한 건설사가 담당해 분양주택과 동일한 품질을 지닙니다. 또한 임대료를 전세금으로 환산해 매월 임대료를 내는 불편함이 없으며 주택 임대차보호법 및 같은 법 시행령에 따라 전세금 인상을 5% 이내로 엄격히 제한하고 있습니다.

 

www.gov.kr/portal/service/serviceInfo/B55145200007

 

13. 부동산개발사업시 분석할 내용에 관한 설명으로 틀린
것은?
① 민감도분석은 시장에 공급된 부동산이 시장에서 일정기간
        동안 소비되는 비율을 조사하여 해당 부동산시장의
       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다.
② 시장분석은 특정부동산에 관련된 시장의 수요와 공급
        상황을 분석하는 것이다.
③ 시장성분석은 부동산이 현재나 미래의 시장상황에서 매매
        또는 임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는 것이다.
④ 예비적 타당성분석은 개발사업으로 예상되는 수입과
        비용을 개략적으로 계산하여 수익성을 검토하는 것이다.
⑤ 인근지역분석은 부동산개발에 영향을 미치는 환경요소의
       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는 것이다.
더보기

정답 : 1

 

민감도분석 : 민감도분석은 투자효과를 분석하는 모형의 투입요소가 변화함에 따라,
그 결과치에 어떠한 영향을 주는가를 분석하는 기법이다.

 

m.blog.naver.com/123ii456/221863357878

 

공인중개사 학개론 민감도 분석이란?

​공인중개사 학개론 민감도 분석이란?​​안녕하세요~ 츠야입니다. 벌써 금요일이 찾아왔습니다. 오늘은 ...

blog.naver.com

 

12. 정부가 부동산시장에 개입할 수 있는 근거가 아닌
것은?
① 토지자원배분의 비효율성
② 부동산 투기
③ 저소득층 주거문제
④ 난개발에 의한 기반시설의 부족
⑤ 개발부담금 부과
더보기

정답 : 5

 

11. 부동산조세 정책에 관한 설명으로 틀린 것은?(단, 다른
조건은 동일함)
① 토지이용을 특정 방향으로 유도하기 위해 정부가 토지
    보유세를 부과할 때에는 토지용도에 관계없이 동일한
   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.
② 임대주택에 재산세가 중과되면, 증가된 세금은 장기적
    으로 임차인에게 전가될 수 있다.
③ 주택의 보유세 감면은 자가소유를 촉진할 수 있다.
④ 주택의 취득세율을 낮추면 주택수요가 증가할 수 있다.
⑤ 공공임대주택의 공급확대는 임대주택의 재산세가 임차
    인에게 전가되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.
더보기

정답 : 1